빅데이터로 본 서울시민 코로나 1년…거리두기 빛났지만 경제 회복 과제 | 뉴스로
서울특별시

빅데이터로 본 서울시민 코로나 1년…거리두기 빛났지만 경제 회복 과제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1년여가 지났다. 서울시가 다양한 분야 빅데이터로 코로나19로 변화한 서울을 분석한 결과, 시민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는 빛났지만 코로나가 골목경제에 미친 경제적 충격은 회복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서울시민들은 코로나19 확산세마다 자발적으로 거리두기에 적극 동참해 이동을 줄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3차 대유행으로 정부가 방역단계를 2.5단계로 격상(12.8.) 이후 12월 넷째(12.21.~12.27) 주말에 생활인구가 7.4% 감소해 연간 최대 감소치를 보였다. 지하철 이용인구도 3차 대유행이 절정이던 작년 12월 전년 대비 41%가 감소해 코로나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그러나 거리두기가 확대되면서 지역경제는 위축됐다. 오프라인 상점 매출은 약 9조 원이 감소했고, 특히 명동‧이태원 같은 관광상권과 대학가 상권은 생활권에 비해 타격이 더 컸다. 반면, 온라인쇼핑 매출은 전년 대비 4조 원 이상 증가하고, 2040세대가 주를 이뤘던 온라인 시장에 5060세대가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진입했다.

서울시는 코로나19 1년을 맞아 코로나19가 지난 1년 간 서울을 어떻게 바꿔놓았는지 빅데이터를 통해 들여다본 결과를 발표했다. 인구, 경제, 모빌리티, 환경, 민원 등 서울시민의 삶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총 망라하고, 시와 신한카드, KCB, 서울연구원 등 총 8개 기관이 참여해 도출한 결과다.

서울시 빅데이터담당관은 앞서 4일(목) 8개 기관이 참여하는 ‘헬로우 서울 빅데이터’ 세미나(주제 : COVID19는 서울을 어떻게 변화시켰나?)를 열고, 분석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코로나19와 이동

이번 분석결과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검증되었다는 데 있다.

서울시 일일 평균 생활인구는 코로나19 심각단계(`20.2.23)이후 단기체류 외국인 급감 등으로 하락한 이후, 전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특히 12월 3차 대유행 시기 서울 생활인구는 서울 외 지역에서의 인구 유입이 줄어들어 최대 7.4%감소했다. 이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외국인 관광객 감소 및 재택근무 등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상화로 도심지 생활인구는 감소한 반면, 시 외곽지역은 상대적으로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별 생활인구 증감률을 분석해본 결과 대표적인 업무·상업지역인 중구의 경우 평일 30%감소, 주말은 39% 감소한 반면 강동구, 은평구, 중랑구 등 주거지가 밀집한 자치구의 생활인구는 소폭 증가했다.

중구, 종로구, 강남구 생활인구 감소의 1차적인 원인은 단기체류 외국인 입국자수 급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월초 기준, 서울시내 단기체류 외국인 수는 중구 93%, 마포구 90%, 종로구 86% 등의 순감소가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시민들의 발도 묶였다. 서울시에서 거주하는 시민들의 자치구간 이동은 최대 4만 4천명 감소했고, 대중교통 이용률 역시 최대 41%, 평균 27% 감소했다.

거주지에서 목적지로의 이동을 분석할 수 있는 서울 생활인구 관내이동데이터 분석결과, 거의 모든 자치구가 상호 연결되어 있던 2019년에 비해 2020년은 자치구 간의 연결성이 유의미하게 떨어졌다.(`20.12월 평일 오전 기준)

목적지 기준으로는 강남구와 중구, 종로구로의 이동은 각각 4만 6천명(△18%), 4만 4천명(△25%), 3만 2천명(△23%) 줄었고, 출발지 기준으로는 관악구 2만 7천명(△19%), 송파구 2만6천명(△22%), 동작구 2만 5천명(△25%)으로 타 지역으로의 이동이 감소했다.

대중교통 이용자 역시 감소했다. `19년과 `20년의 지하철 이용인구를 비교한 결과, 코로나19 이후의 이용인구는 전년대비 27%, 최대 41% 감소했다. 특히 `20년 12월엔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인해 지난 3월(△39%) 기록한 대중교통 이용객 최고 감소율을 경신했다.

코로나19와 경제생활

서울시 생활인구, 자치구간 이동인구, 대중교통 이용률 감소 등 시민들의 적극적인 거리두기 참여가 확인되었으나, 이로 인한 경제적 충격은 심각했다.

상점매출은 전년대비 9%하락(약 9조원)했다. 서울시 연간 상점매출은 설연휴와 신학기가 시작하는 2-3월, 여름휴가와 추석이 겹치는 8-9월, 연말 등 ‘대목’에 집중되었으나, `20년의 경우 코로나19 대확산 국면과 겹치며 매출액 감소폭이 더 컸다.

전년대비 매출액이 증가한 시점은 `20.5월 11일~6월 21일사이로, 5월초 연휴와 국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이루어진 시기였다. 반면 가장 심각한 격차가 발생한 시점은 3차 대유행이 현실화된 시점인 연말이었다. 이 시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약 0.7조원(△34%)하락했다.

업종별로는 한식(2.6조원), 기타요식(1.1조원), 양식(0.4조원), 중식(0.2조원)등 요식업의 매출타격이 심각했고, 학원과 의류(0.5조원) 등에서도 전년대비 15%이상 매출이 하락했다. 면세점, 여행사 등 레저 관련 업종과 유흥주점 등은 거리두기 영향으로 전년대비 매출액이 50%이상 급락했다.

반면 일반병원, 약국 등 건강관련 업종은 전년대비 매출이 상승했고, 요식업 소비 축소경향을 반영하듯 정육점, 할인점, 편의점에서의 매출 상승이 확인됐다.

서울시 발달상권 32개소에서의 매출액 증감 패턴 분석결과, 상권별 경제충격의 정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매출액을 1로 가정하고 주요 상권별 평균 매출액을 산출한 결과, 관광상권(이태원, 인사동 등)과 대학상권(홍대, 이대 등)의 매출 타격이 상대적으로 컸고, 문정역 등 지역상권과 을지로3가 등 유통상권의 매출은 상대적으로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점매출액 분포 역시 자치구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감소율 기준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자치구는 주요 공기관 및 본사가 집중된 중구(△19%)와 종로구(△14%), 대학가 상권이 집중된 서대문구(△18%), 이태원이 포함된 용산구(△15%) 등이었다.

반면 주거지역이 밀집된 중랑구(△3%), 양천구(△4%), 강동구, 은평구(△5%)등은 상대적으로 매출액 하락폭이 낮았다.

매출액이 하락한 상점/상권매출과는 달리 온라인 소비액은 전년대비 4조원 이상 증가하며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트렌드 확산이 재확인되었다.(*상점매출액:상점 소재지 기준|카드소비액:소비자 거주지 기준)

서울시민들의 신용카드 소비액은 전년대비 약 3%감소(△3.5조원)하는 데 그쳤다. 상점매출액이 9조원 이상 줄어든 것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폭의 하락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은 전년대비 4조원 이상 증가한 온라인 및 결제대행 서비스 매출액 증가에서 찾을 수 있다. 신한카드사의 자료에 따르면 `19년도에도 월평균 23%증가한 온라인쇼핑 이용 건수 증가율이 `20년에 이르면 월평균 36%이상 증가하며 온라인쇼핑이 일상화되었다.

특히 5060세대가 새로운 디지털 소비계층으로 진입한 것이 눈에 띄었다. 연령별 간편결제 이용 결제율 및 스트리밍 서비스, 배달앱 이용 증가율은 5060세대가 2040세대를 압도했으며, 중고거래 등 ‘가성비’트렌드에도 합류하며 눈길을 끌었다.

코로나19의 그림자

4년 이상 영업을 지속한 업체(약 31만)에 대한 신용정보를 분석한 결과, 매출 상위 30%에 해당하는 업체보다 하위 30%에서 전년대비 매출액 감소비율이 크게 나타나며 ‘양극화’우려가 제기되었다.

매출 규모가 큰 업체들은 거리두기 충격으로부터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던 반면, 영세한 업체들은 언택트 환경으로의 전환 등 급변하는 상황에서의 적응이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출규모 30%이하 업종 사업주들의 연령은 상대적으로 60대 이상의 비중이 높았고, 영업기간은 10년 이상으로 나타나며 코로나19가 촉발시킨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19~`20년 동안 서울시에 접수된 응답소 민원 약 450만건에 대한 분석 결과, 건강/식품위생(358%), 경제/산업(182%)에서의 민원은 급증한 반면 문화(△70%), 환경(△46%)민원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급박하게 지나온 지난 1년을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데이터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시민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 덕분에 더 크게 번질 수 있었던 위기를 비교적 빠르게 수습할 수 있었다”며 “데이터에 근거한 포스트 코로나 정책을 수립하는 등 과학행정을 통해 민생안정을 최우선 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제보 jebo@newsro.kr

<©국가정보기간뉴스–뉴스로,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