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빅데이터 이용해 정책 수립 돕는다! | 뉴스로
서울특별시

서울시, 빅데이터 이용해 정책 수립 돕는다!

서울시가 대중교통과 통신 빅데이터로 ‘서울형 통근‧통학인구 데이터’ 개발에 나선다. 출‧퇴근, 등하교를 위해 지역과 지역을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일(日), 시간대, 성별, 연령대별로 정확하게 파악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개방하고, 통근‧통학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각종 정책 수립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출발지와 도착지를 그룹화하기 위해 서울시 전역을 행정동 단위보다 세밀한 1,200개의 공간단위(교통폴리곤)로 쪼개 데이터를 산출한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은 읍면동 단위, 나머지 지역은 시‧도 단위로 그룹화한다.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사실상 전국을 대상으로 통근‧통학인구 데이터 개발에 나서는 것이다.

통근·통학인구 데이터란 평소 살고 있는 집 이외의 직장(일터, 근무지) 또는 학교(학원)에 정기적으로 다니는 12세 이상 인구의 출발지와 도착지, 소요 시간 등을 기록한 데이터이다.

서울시는 시간의 가치가 중요한 현대사회에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통근‧통학시간 개선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보해 통근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교통 대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데이터를 활용해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가 높은 노선을 증차하거나 대중교통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버스노선을 신설‧조정할 수 있다. 또, 청년주택 등 공공주택을 지을 때 20~30대 통근‧통학인구가 많은 지역 중심으로 선정하는 등 직장-주거 접근성을 높이는 도시공간구조 개선에도 활용될 수 있다.

서울시는 시가 보유한 공공 빅데이터(대중교통 이용, 인구‧사업체 센서스 등)와 ㈜KT의 통신 빅데이터, 한국교통연구원의 기종점 통행량데이터를 융합‧분석하는 공동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연내 개발을 완료하고 2020년부터 실제 활용에 들어간다.

시·군‧구 단위로, 길게는 5년 단위로 생산되는 기존 조사통계의 한계를 넘어서 행정동보다 조밀한 소지역 단위, 일‧시간 단위 데이터를 개발해 시의성 있는 정책수요를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도시민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과 행복에 영향을 주는 교통 인프라와 주택 정책은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만큼 시의성 있는 소지역 단위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현재 정부에서 공식집계하고 있는 인구통계는 공간범위가 크거나 장기적 시간간격을 두고 생산하는 방식이어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대중교통(지하철·버스) 이용 데이터는 대중교통 이동패턴과 소요시간 파악은 가능하지만 대중교통을 제외한 나머지(도보, 자전거, 승용차, 택시 등) 교통수단을 이용했을 때의 정확한 소요시간 측정은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집에서 대중교통 탑승까지, 하차 후 도착지까지 걸리는 시간은 KT의 LTE 시그널 데이터를 이용해 통근·통학인구 규모와 소요시간 산출 알고리즘을 정교화 할 계획이다.

개발된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을 통해 원시데이터 형태로 제공, 일·시간대별 데이터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기업이나 개인은 다른 데이터와 융합해 앱 개발 등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거나, 주거·교통 연계 시민 삶의 질 향상 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제보 jebo@newsro.kr

<©국가정보기간뉴스–뉴스로,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