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을 위한 실천방안 제시 | 뉴스로
경상남도

경남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을 위한 실천방안 제시

경남연구원(원장 송부용)은 20일 경남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을 위한 실천방안을 주제로 정책 브리프를 발행해 지역 무형유산의 전승환경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지역의 소중한 비지정무형유산이 전승자의 고령화와 열악한 전승환경, 지역민의 무관심속에서 지속적으로 소멸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에서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 중의 하나로 미래 무형유산의 발굴·육성 사업이 부각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부터 2026년까지 5년 계획으로「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이 사업은 근현대에 새롭게 복원·재창조되거나 아직 국가 또는 광역시도차원에서 지정되지 않은 전국 각 지역 무형유산을 사업대상으로 하여 전체 100종목을 선정하고 각 지역의 대표 무형유산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경남 역시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6개 종목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상우 조사연구위원은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은 문화재청 사업이 끝나는 2026년 이후에도 경남도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사업으로 지역 무형유산 보존·전승 환경 개선 차원에서 사업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주장하였다.

브리프에 따르면, 경남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여건 환경은 후보 무형유산 자원 보유 측면에서 양호하나 경남도와 각 시군 지자체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장기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경남도차원에서 경남민속예술축제가 1968년부터 열리고 있으며 역대 수상작 중 많은 수가 국가 또는 도지정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일부는 아직 미지정 상태로 있다. 이 미지정 상태의 수상 무형유산을 향후 미래 무형유산으로 체계적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역에는 합천 밤마리오광대, 마산오광대, 양산 원동목도소리, 진해 연도상여소리, 거제 살방깨발소리, 함안수륙제 등 현재 무형문화재로 미지정 되었으나 지역민에게 많이 알려져 있고 다양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무형유산도 많이 있다. 이러한 무형유산 역시 세부 구성내용과 역사성, 전승체계 등이 지속적으로 조사·연구되고 보완되면 미래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문화재청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참여를 제외하고는 경남도나 각 시군 지자체에서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에 대한 계획이나 지원책은 부족한 상태이다.

한상우 조사연구위원은 미래 무형유산이 가지는 정서적·문화적 차원에서의 지역민 통합기능과 콘텐츠산업 측면의 활용성, 지역 전통문화의 향유 확대 등의 긍정적 기능과 가치를 볼 때 경남도와 각 시군 지자체 차원의 사업 전개와 이 과정에서의 도의 주도적인 역할이 특히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도차원에서의 실천방안으로 도내 무형유산 현황 조사 및 목록화 사업 실시, 「경남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전개, 종목별 맞춤형 컨설팅 제공, 「경남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조례」제정, 지역민 대상 홍보 강화, 무형유산 관리 체계 이원화 확립 등을 제시하였다.

뉴스제보 jebo@newsro.kr

<©국가정보기간뉴스–뉴스로,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